재정
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ODA 중기재정 운용방향
제1절 ODA 현황 및 문제점
1. ODA의 연도별 추이
2. ODA 예산과 재정운용 추이
3. 주요 문제점
제2절 ODA 중기재정 정책방향
1. ODA 정책목표
2. 중기재정의 규모 및 투자방향
3. 중점지원분야
제3절 원조분절화 해소
1. 현황 및 문제점
2. 분절화 해소를 위한 재정투자 방향
3. 분절화 해소를 위한 정책 방향
제4절 성과관리 강화
1. 현황 및 문제점
2. 성과관리 모델설정 방향
3. ODA 중기예산 및 다년도 예산계획
제3장 ODA 인력양성 및 해외진출 확대방안
제1절 현황 및 문제점
1. ODA에 대한 국민인식 미흡
2. ODA 수행조직 인력의 부족
3. 개발 컨설팅 인력의 부족
4. 해외 봉사단 활동
5. 국제기구 인력 진출 저조
제2절 정책방향 및 재정투자 방향
1. 정책 기본 방향
2. 중점 투자방향
제3절 제도 개선을 위한 검토과제
1. 국민 인식제고 및 역량결집 사업 추진
2. 대학을 활용한 글로벌 창업 프로그램
3. 해외 봉사단 내실화
4. ODA 인턴 프로그램 확대
5. 개발조사사업 확대 및 개도국 정책 자문관 파견
6. 국제기구 진출 지원
제4장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제1절 현황 및 문제점
1. 민관협력의 제도적한계
2. 다양한 민관협력 지원 메커니즘 부족
3. 민관협력에 대한 인식·전문성 부족
4. 민자사업 차관제도의 저조한 활용
제2절 정책방향 및 재정투자 방향
1. B2B 지원체제 강화
2. NGO 지원 다원화 및 역량강화 제고
3. 민관협력형 패키지 지원
제3절 제도개선을 위한 검토과제
1. 정부차원의 민관협력정책 방향 및 관련법 재정립
2. 요청주의에서 협의주의로 전환
3. 범정부 차원의 PPP 협의회 설치
참고문헌
제2장 ODA 중기재정 운용방향
제1절 ODA 현황 및 문제점
1. ODA의 연도별 추이
2. ODA 예산과 재정운용 추이
3. 주요 문제점
제2절 ODA 중기재정 정책방향
1. ODA 정책목표
2. 중기재정의 규모 및 투자방향
3. 중점지원분야
제3절 원조분절화 해소
1. 현황 및 문제점
2. 분절화 해소를 위한 재정투자 방향
3. 분절화 해소를 위한 정책 방향
제4절 성과관리 강화
1. 현황 및 문제점
2. 성과관리 모델설정 방향
3. ODA 중기예산 및 다년도 예산계획
제3장 ODA 인력양성 및 해외진출 확대방안
제1절 현황 및 문제점
1. ODA에 대한 국민인식 미흡
2. ODA 수행조직 인력의 부족
3. 개발 컨설팅 인력의 부족
4. 해외 봉사단 활동
5. 국제기구 인력 진출 저조
제2절 정책방향 및 재정투자 방향
1. 정책 기본 방향
2. 중점 투자방향
제3절 제도 개선을 위한 검토과제
1. 국민 인식제고 및 역량결집 사업 추진
2. 대학을 활용한 글로벌 창업 프로그램
3. 해외 봉사단 내실화
4. ODA 인턴 프로그램 확대
5. 개발조사사업 확대 및 개도국 정책 자문관 파견
6. 국제기구 진출 지원
제4장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제1절 현황 및 문제점
1. 민관협력의 제도적한계
2. 다양한 민관협력 지원 메커니즘 부족
3. 민관협력에 대한 인식·전문성 부족
4. 민자사업 차관제도의 저조한 활용
제2절 정책방향 및 재정투자 방향
1. B2B 지원체제 강화
2. NGO 지원 다원화 및 역량강화 제고
3. 민관협력형 패키지 지원
제3절 제도개선을 위한 검토과제
1. 정부차원의 민관협력정책 방향 및 관련법 재정립
2. 요청주의에서 협의주의로 전환
3. 범정부 차원의 PPP 협의회 설치
참고문헌
관련자료 이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자료입니다.
주요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