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요약
본 연구는 자본시장에서 정보 생산자로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애널리스트의 예측정보 정확도가 제도적 또는 환경적 요인, 보다 구체적으로 애널리스트가 속한 증권사와 평가대상기업이 동일인에 의하여 지배되거나 평가대상 기업의 장래 가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보의 선택적 제공을 금지하는 제도의 도입과 같은 요인에 의하여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점검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공정공시제도 도입 이후 애널리스트의 주가 예측정보 생산에 근본적인 변화가 발생하여 예측오차가 획기적으로 감소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정공시제도의 도입 이후 예측오차의 평균적인 크기뿐 아니라 분산도 괄목할 정도로 감소하여 공정공시제도의 도입이 애널리스트가 생산하는 정보의 품질뿐 아니라 투명성 제고에도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는 잠정적인 결론을 내릴 수있었다. 둘째, 애널리스트가 소속된 증권사가 평가대상 기업과 소유 및 지배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애널리스트의 예측정보 정확도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관계는 공정공시제도의 도입과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적어도 현재까지는 소유 및 지배구조로 인하여 왜곡된 정보를 생산하려는 유인보다 정보를 생산하는 애널리스트 본인의 평판을 지키려는 유인이 더욱 크게 작용한 결과 관측되는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따라서 현재 시점에서 증권사와 평가대상 기업이 소유 및 지배 구조로 연결된 경우라도 해당 증권사 소속 애널리스트의 예측 보고서에 대하여 별도의 규제적 조치를 검토할 필요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공정공시제도 도입 이후 애널리스트의 주가 예측정보 생산에 근본적인 변화가 발생하여 예측오차가 획기적으로 감소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정공시제도의 도입 이후 예측오차의 평균적인 크기뿐 아니라 분산도 괄목할 정도로 감소하여 공정공시제도의 도입이 애널리스트가 생산하는 정보의 품질뿐 아니라 투명성 제고에도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는 잠정적인 결론을 내릴 수있었다. 둘째, 애널리스트가 소속된 증권사가 평가대상 기업과 소유 및 지배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애널리스트의 예측정보 정확도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관계는 공정공시제도의 도입과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적어도 현재까지는 소유 및 지배구조로 인하여 왜곡된 정보를 생산하려는 유인보다 정보를 생산하는 애널리스트 본인의 평판을 지키려는 유인이 더욱 크게 작용한 결과 관측되는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따라서 현재 시점에서 증권사와 평가대상 기업이 소유 및 지배 구조로 연결된 경우라도 해당 증권사 소속 애널리스트의 예측 보고서에 대하여 별도의 규제적 조치를 검토할 필요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판매정보
- 형태
- 인쇄물
- 분량/크기
- 58 PAGE
- 판매 가격
- 도서회원 가격
도서회원으로 로그인하시면 도서 할인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에 담았습니다.
담긴 내역은 구매 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내역을 확인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