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경제
요약
□ 환경 변화로 인하여 정부부문의 역량 강화와 전문성 제고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나 각종 지표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정부역량은 미흡한 수준임.
- 이의 원인으로 공무원의 역량 부족, 특히 전문성 부족이 자주 지적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부문으로 유입되는 인력의 질이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문제의 원인을 구조적·제도적 부분에서 찾아야 함.
□ 본 포럼에서는 과도한 순환보직이 전문성 축적을 저해하는 핵심요인이라고 보고, 이에 대한 현황 파악과 함께 해결방안을 모색함.
□ 현황 파악 결과, 우리나라는 순환보직이 지나치게 자주 이루어져 순환보직의 긍정적 취지를 살리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남.
- 중앙부처 과장급 이상의 평균 재임기간이 1년 남짓에 불과
- 임직 후 1년 이내 전보비율이 2006년 현재 4~5급은 42%, 고위공무원과 1~3급은 50%이며, 특히 고위공무원은 61%, 1급은 75%에 달함.
- 이러한 과도한 순환보직은 계급제와 연공서열이 결합하여 발생하는 Z자형 인사이동에서 비롯됨.
□ 잦은 순환보직은 여러 문제를 야기함.
- 마찰적 비효율, 업무 연속성 및 책임성 저하, 유인 왜곡, 업무 파악 및 숙지 저해, 전문성 축적 저해 등 여러 문제 발생
- 보직 이동 시 전문성에 대한 고려가 결여되어 전문성 축적을 크게 저해함.
□ 문제의 개선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현 제도의 틀 내에서 전보범위를 축소하고 전보제한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공직분류제를 계급제에서 직위분류제로 바꾸어 나가야 함.
□ 정부부문 개혁에 있어 거시적 접근 못지않게 미시적 접근이 중요함.
- 고급인력이 대거 정부부문으로 몰리는 우리 상황에서는 인사제도 개선을 통해 전문성 축적의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고급인력의 역량을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 매우 중요함.
- 이의 원인으로 공무원의 역량 부족, 특히 전문성 부족이 자주 지적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부문으로 유입되는 인력의 질이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문제의 원인을 구조적·제도적 부분에서 찾아야 함.
□ 본 포럼에서는 과도한 순환보직이 전문성 축적을 저해하는 핵심요인이라고 보고, 이에 대한 현황 파악과 함께 해결방안을 모색함.
□ 현황 파악 결과, 우리나라는 순환보직이 지나치게 자주 이루어져 순환보직의 긍정적 취지를 살리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남.
- 중앙부처 과장급 이상의 평균 재임기간이 1년 남짓에 불과
- 임직 후 1년 이내 전보비율이 2006년 현재 4~5급은 42%, 고위공무원과 1~3급은 50%이며, 특히 고위공무원은 61%, 1급은 75%에 달함.
- 이러한 과도한 순환보직은 계급제와 연공서열이 결합하여 발생하는 Z자형 인사이동에서 비롯됨.
□ 잦은 순환보직은 여러 문제를 야기함.
- 마찰적 비효율, 업무 연속성 및 책임성 저하, 유인 왜곡, 업무 파악 및 숙지 저해, 전문성 축적 저해 등 여러 문제 발생
- 보직 이동 시 전문성에 대한 고려가 결여되어 전문성 축적을 크게 저해함.
□ 문제의 개선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현 제도의 틀 내에서 전보범위를 축소하고 전보제한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공직분류제를 계급제에서 직위분류제로 바꾸어 나가야 함.
□ 정부부문 개혁에 있어 거시적 접근 못지않게 미시적 접근이 중요함.
- 고급인력이 대거 정부부문으로 몰리는 우리 상황에서는 인사제도 개선을 통해 전문성 축적의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고급인력의 역량을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 매우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