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통계시스템 발전방안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연구 보고서
본문 바로가기

KDI 한국개발연구원

KDI 한국개발연구원

SITEMAP

연구보고서 국가통계시스템 발전방안 2004.12.31

표지

Series No. 2004-10

연구보고서 국가통계시스템 발전방안 #경제정보 일반

2004.12.31

  • KDI
    이재형
국문요약
1. 배경과 목적

통계는 국가운영의 효율화와 국가구성원들의 합리적인 의사를 위한 기초정보로서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는 통계의 부족, 부실로 인하여 사회적 이슈의 파악과 이에 대한 정책대응, 기업의 합리적 의사결정, 학계의 연구기능 등에서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었다.

앞으로도 통계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인데, 통계는 그것이 갖는 공공재적 속성 때문에 정부의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국가통계시스템(national statistical system)의 효율화란 통계라는 정보재(information goods)가 갖는 속성을 최대한 살려 가장 효율적으로 고품질의 통계를 생산(compile)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국가통계(official statistics; national statistics)는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부실하며, 이는 통계시스템의 취약성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서 이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 국가통계 및 그 생산시스템(compiling system)의 현황을 점검하고, 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2. 주요 내용

우리나라는 분산형 통계제도(dispersed statistical system) 하에서 여러 국가기관이 다양한 통계를 생산하고 있다. 좋은 통계란 몇 가지 필수적인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 국가통계는 보편적인 평가기준에 비추어 본다면 질적 수준이 대단히 미흡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국가통계가 안고 있는 문제점은 (1) 경제사회적 여건변화로 국가적으로 다양한 통계가 필요하고 요구되는데 비해 이를 충족시킬 만큼 충분한 종류의 통계가 공급되지 못하고 있다는점, (2) 현재 작성되고 있는 통계조차도 품질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 (3) 통계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낮아 통계가 정부나 국민들에 의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우리나라 국가통계가 갖는 이와 같은 문제점은 통계의 속성상 객관적인 증거에 의해 명확히 입증되기는 어렵지만, 유사통계의 비교, 통계생산과정의 점검 등을 통해 이상과 같은 문제점이 잠복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우리나라 국가통계 부실의 원인은 국가통계시스템이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또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는데 있다. 국가통계의 개선을 위해서는 국가통계시스템을 강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취약한 국가통계시스템의 현실을 고려할 때 현 시스템의 연장선상에서의 부분적인 개선으로서는 한계가 있으며, 국가통계체계를 원점에서 재점검하는 대개혁이 필요할 것이다.

먼저 통계제도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 우리나라 통계제도가 나아갈 방향을 선정하고 이에 가장 효율적인 제도를 채택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취약한 통계인프라(statistical infrastructure)를 고려한다면, 집중형 통계제도(centralized statistical system)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통계조정기능이 대단히 중요하며, 이를 통해 국가통계자원의 활용을 확대하고, 통계 상호간의 연계성, 정합성, 통합성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정부 부처간 협력을 강화하여 국가가 보유한 각종 정보를 통계정보로서 최대한 활용하며, 통계결과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통계인력의 확충과 재배치가 필요하다. 이것은 양적인 측면에서 통계인력의 증대와 함께 질적인 측면에서의 통계인력 구조의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통계인력의 확충은 국가통계시스템 개선의 전제조건이며, 이것이 수반되지 않는 한, 어떠한 개선책도 무의미하다고 판단된다. 통계인력의 확충은 ① 절대수를 늘리는 방법과 ② 통계인력의 조정, 기능의 재배치, 효율성 제고, 아웃소싱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 인력구조를 개선해나가는 두 가지 대안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대안의 선택에 있어서는 통계제도를 분산형의 방향으로 갈 것인가, 집중형의 방향으로 갈 것인가의 선택이 중요한 관건으로 등장한다. 통계제도의 선택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적정인력의 규모가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지역통계기능의 확충이 중요하다. 지역통계기능은 조사의 효율화와 지역통계작성기능의 강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강조되는데, 구체적으로 현재의 지자체 통계기능과 통계청 지방사무소의 위상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현실적인 문제로 등장한다.
통계시스템의 강화를 위해서는 통계의 작성, 관리, 이용 등 통계작성 공정(process) 및 이용의 각 단계에서의 효율적인 관리체계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품질관리시스템과 아울러 통계의 활용을 보다 확대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정책담당자, 일반국민들의 통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는 통계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뿐 아니라 통계의 활용도를 높이는 길이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통계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벤치마킹으로서 선진국의 국가통계시스템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 선진국들은 국가적 환경이나 행정의 전통, 정부조직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통계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① 국가통계기능을 정부의 중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로 위치부여하고 있으며, ② 어떠한 제도를 선택하든 통계의 충실성을 보장할 수 있는 충분한 국가통계조직 및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③ 행정자료 등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통계의 기초자료로서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④ 예산, 인사 등을 통해 국가통계조정기능을 제도적으로 확립하고 있으며, ⑤ 통계행정의 효율성 향상을 중시하는 입장에서는 집중형 통계제도를 선호하고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3. 결론 및 시사점

우리나라 국가통계 및 작성 시스템에 대한 점검을 통해 우리나라 국가통계의 부실은 심각한 수준이며, 이는 국가통계시스템의 취약성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가통계시스템의 구체적인 문제점의 도출과 이와 관련한 선진국의 통계시스템의 벤치마킹을 통해 우리나라 국가통계시스템의 발전방안을 이하와 같이 제시하였다.

① 국가통계발전전략의 수립

② 통계인력 및 조직의 확충

③ 집중형 통계제도적 요소 강화

④ 국가통계의 우선순위 조정

⑤ 지역통계기능 강화

⑥ 통계조정기능의 강화

⑦ 부처간 정보공유의 확대

⑧ 연구, 분석기능의 강화

⑨ 통계수요자와 생산자간 교류 확대
영문요약
1. Background and Purpose

Statistics is very important as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cision-making among members of a nation as well as perform efficient national operations. Nevertheless, Korea has been undergoing many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social issues, establishing policies, reasonable decision makings of companies, and research functioning in academia due to the lack of statistical information.

The significance of statistics looks to be increasing in coming years and the role of the government is very important at this point because statistics has nature of public goods. Efficiency in national statistical system means to build a systemized process to maximize the use of the properties of information goods and compile high quality statistics efficiently. The national statistics in Korea is far less developed than ones of advanced countries and this stems from the weakness in national statistical system. Under such recognition this report is written to examine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s and the compiling system to suggest the future development plans.

2. Major content

Many n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of Korea are producing various statistics under dispersed statistical system. The quality of Korean statistics, which lacks the necessary conditions to compile good statistics, is very low compared to conventional evaluation standards.

The problems of Korean national statistics can be summed up in the ways that, first of all, not enough types of statistical analyses are introduced to cope with the nation needs for various statistics, secondly,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current statistics have a lot of problems in the quality, thirdly, statistics are not fully utilized by people because national interests for statistics are very low.

Although such problems are rather impossible to be proved clearly by objective evidences because of the nature of statistics, the comparisons of similar statistics and examination of statistical procedures showed that Korean national statistics have such problems with high probability.

The reason for these weaknesses in Korean national statistics is rooted in the fact that national statistics has structural vulnerability and is not functioning properly. We need to reinforce the national statistics system in order to improve national statistics. Considering the vulnerability in the national statistics, reforms on the extension of the current system only bring limited improvement. Hence, a profound level of reformation that re-inspects national statistical system from the starting point must be done.

First, we need to examine the statistical system. In order to do this, the direction that Korean statistical system will move on to in the future must be set and we need to adapt most efficient system that will fit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 With the consideration on the field of statistical infrastructure, the field that is especially venerable, adaptation of centralized statistical system is recommended. Also, the statistical controlling function will be extremely important in the sense that it will promote the relevancy, appropriateness, integration among statistics. By reinforcing the cooperation from government departments, we need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various types of national information for statistical analyses and take full advantages on usages of the statistical results.

Expansion and rearrangement of workforce in the field of statistics are also necessary. This means both the quantity,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workforce, and the quality, restructuring the workforce, should be done. Expansion of the work force in number is the precondition of improvement in national statistical system and it seems all other development plans are meaningless without it. There are two ways to perform the expansion, first, increasing the absolute number of work force, second,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workforce via actively rearranging the workforce by functionalities, reconsidering the efficiency, and outsourcing.

It is crucial to expand the functions of local statistics. The functions of local statistics are stressed in the aspects of the efficiency of researches and reinforcement in functionality to create the local statistics. And we are facing the practical problems to concretely deal with the differences of the local statistical offices and current functions of self-governing statistical system. For the reinforcement of statistical systems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n efficient management system for each step in using and manufacturing processes such as creating, management, utilizing, etc. For this problem we need an improvement of statistical system that will expand the usage of the statistics along with quality control system. Especially, statistical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government officers and citizens should be rai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tatistics and upgrade statistical usage.

For the purpose of benchmarking to improve Korean statistical system, analyses of national statistical systems in advanced countries were performed. As a result, although they are running on various statistical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ir national environments, administrative tradition,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systems, they are all same in showing the implications that they consider the function of national statistics as one of important government functions, have a credible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ions and enough workforce regardless of the statistical systems, use the information of the government as basic statistical data actively, systemized the functionality to control national statistics via human resource and budget systems, and prefer centered statistical system so that they can focus on the improvement of statistical administration.

3. Result and implications

From the examining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al and creation system we could see that the unreliability of the national statistics is extremely high and the unreliability is rooted in the weaknesses of national statistical system. We suggest the development plans by bringing out concrete problems of national statistical system and benchmarking the statistical systems of advanced countries as following.

① Establishment of strategy for national statistical development

② Increasing the numbers of statistical workforce and organization

③ Reinforcing the elements in centered statistical system

④ Controlling the priority of national statistics

⑤ Reinforcing the local statistical functions

⑥ Reinforcing the statistical control functions

⑦ Expanding the information sharing among departments

⑧ Reinforcing the research and analyses functions

⑨ Increasing the communications between statistics suppliers and demanders
목차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목적
 제2절 보고서의 구성과 흐름
  1. 보고서의 구성
  2. 보고서의 전체적 흐름

제2장 국가통계와 통계제도

 제1절 국가통계의 의의
  1. 통계의 정의와 종류
  2. 통계 및 통계행정의 특징
 제2절 국가기능과 통계환경의 변화
  1. 국가기능의 변화
  2. 통계생산자로서 국가의 기능
 제3절 통계제도
  1. 통계제도의 형태와 특징
  2. 주요 국가의 통계제도
 제4절 통계환경과 과제
  1. 통계생산환경의 변화
  2. 우리나라 국가통계의 과제

제3장 국가통계 및 통계시스템의 실태

 제1절 국가통계 및 통계시스템의 개관
  1. 국가통계 현황
  2. 통계조직 및 인력 현황
  3. 주요 정부 통계작성기관의 실태
 제2절 우리나라 국가통계의 실상
  1. 국가통계의 평가기준
  2. 관련성: 통계수요에 대응한 통계공급
  3. 통계의 정확성과 신뢰성
  4. 주요 통계에 대한 이용자의 평가
  5. 통계작성 절차적 접근

제4장 우리나라 통계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제1절 통계 및 통계행정에 대한 인식 부족
 제2절 통계조직·인력의 확충
  1. 통계제도의 개편 검토
  2. 통계조직의 확충: 기구·인력 확대와 기능 재편
  3. 통계자원의 조정 필요성
  4. 통계조사원제도의 개선
 제3절 통계조정 및 통계자원의 공유
  1. 통계조정기능의 강화
  2. 정부기관 간 자료 공유의 확대
 제4절 통계조사의 충실화
  1. 통계조사단계의 현실과 문제점
  2. 조사체계 및 방법론의 개선
 제5절 지역통계기능 발전
  1. 지역통계 및 통계조직 현황
  2. 지역통계기능 강화방안
 제6절 연구·개발·분석 기능의 강화
  1. 연구·개발·분석 기능의 필요성
  2. 선진국 통계기관의 연구기능
  3. 발전방안
 제7절 통계보급의 확대 및 통계활용 강화
  1. 통계보급체계의 개선
  2. 통계에 대한 이해 제고

제5장 외국의 통계시스템

 제1절 미 국
  1. 통계제도의 개황
  2. 상무부 센서스국
  3. 센서스국 지방사무소
  4. 통계조정
  5. 「미국정부의 통계프로그램」
  6. 연방통계기구의 설립 검토
 제2절 일 본
  1. 통계제도의 개황
  2. 통계법규
  3. 중앙통계기관
  4. 지방통계기구
  5. 「통계행정의 새로운 전개방향」
 제3절 캐나다
  1. 통계제도 개황
  2. 캐나다 통계청의 업무와 평가
  3. 개인정보 보호 및 조사부담 경감
 제4절 영 국
  1. 제도개황
  2. 에이전시(Agency) 제도와 성과관리
  3. 영국통계제도의 발전계획
 제5절 프랑스
 제6절 선진국 통계제도의 비교분석
  1. 통계제도
  2. 통계조정기능
  3. 자료수집
  4. 자문기구
 제7절 선진국 통계제도의 특징과 시사점

제6장 국가통계시스템 발전방안

 제1절 기본인식
 제2절 발전방안

참고문헌
동일 주제 자료 ( 9 )
  • 주요 관련자료
공공누리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

Join our Newsletter

매일 새로운 소식으로 준비된 KDI 뉴스레터와 함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