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4차 산업혁명시대 정부 커뮤니케이션 제도 개선방안 연구 2019.03.31

- 목차
-
제1장 총 론
제2장 정부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 변화와 도전과제
제1절 서 론
제3절 열린정부와 정부 커뮤니케이션
제4절 영국 내각실 정부 커뮤니케이션서비스(Government Communication Service) 사례연구
제5절 국제사회 정부 커뮤니케이션 수준 비교분석
제6절 논의 및 제언
제3장 정부광고의 효과성 및 효율성 제고 방안: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역할을 중심으로
제1절 서 론
제3절 효과적⋅효율적 정부광고의 요건
제4절 현행 정부광고의 장단점 분석: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역할을 중심으로
제5절 현행 정부광고의 개선방안
제6절 결 론
제4장 정부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적 성과평가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
제1절 서 론
제2절 선행 연구
제3절 주요 연구 문제
제5장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ext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언론보도프레임과 정부신뢰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제1절 서 론
제2절 선행 연구 고찰
제3절 연구방법론
제4절 분석 결과
제5절 시사점 및 결론
제6장 전자정부를 통한 정책소통과 참여민주주의 : 평가와 제언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제2절 평가기준의 도출을 위한 이론적 논의
제3절 연구대상과 방법
제4절 온라인 정책소통에 대한 평가
제5절 온라인 정책소통을 위한 제언
제6절 결 어
제7장 시민참여 공공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기제 분석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제2절 연구 방법
제4절 시민참여 공공소통의 과정 및 성과
제5절 시민참여 공공 의사결정의 기제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관련 자료 ( 9 )
- 주요 관련자료
- 같은 주제자료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 담당자
- 윤정애 전문연구원yoon0511@kdi.re.kr 044-550-4450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