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경제동향 2023. 9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KDI 경제동향
본문 바로가기

KDI 한국개발연구원

KDI 한국개발연구원

SITEMAP

경제동향

최근의 경제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국내외 거시경제 통계를 바탕으로 경제현황을 분석하고 전망을 제시하는 보고서로서 매월 발간됩니다.

KDI 경제동향
KDI 경제동향 2023. 9
2023.09.07
국문요약
■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 부진이 다소 완화되고 있으나, 중국 경기불안 등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모습

○ 제조업생산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부진이 점차 완화되고 있으며, 서비스업생산도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

- 반도체수출 감소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그 외 품목의 수출도 부진이 완화되는 흐름

- 이와 함께 서비스업생산이 기저효과와 기상여건 악화 등 일시적 요인으로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었으나, 완만한 증가 흐름은 유지

○ 다만, 중국의 경기불안 우려가 증대되고 국제유가 상승으로 물가 상방 압력이 확대되는 등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짐.

- 중국경제는 부동산 기업의 금융불안, 부동산투자 부진 등 경기 하방 위험이 확대됨.

- 아울러,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확대되면서 경기 부진이 완화되는 흐름을 일부 제약할 가능성도 존재
영문요약
■ The Korean economy is experiencing a slight easing in export contraction, yet external uncertainties, such as economic instability in China, are intensifying.

○ The slowdown in manufacturing production is gradually easing, largely fueled by the semiconductor sector, while services production continues on a modest growth path.

- The decrease in semiconductor exports is decelerating, and other categories are also exhibiting signs of better export performance.

- Simultaneously, the expansion in services production has marginally slowed, attributable to temporary factors like the base effect and deteriorating weather conditions; nonetheless, a modest growth trend persists.

○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nomic uncertainties are escalating, underscored by heightened concerns over China’s economic instability and increasing inflationary pressures due to rising international oil prices.

- The Chinese economy faces growing downside risks, such as financial instability in real estate firms and sluggish real estate investment.

- Furthermore, the increase in consumer prices, driven by rising international oil prices, could partially hinder the alleviation of economic downturns.
국문 목차
주요 경제지표

요약 및 평가

경제동향 주요지표
 1.  국내총생산(2015년 불변가격)
 2.  경기
 3.  소비
 4.  설비투자
 5.  건설투자
 6-1. 수출, 수입 및 교역조건
 6-2. 경상수지 및 금융계정
 7.  고용 및 임금
 8.  물가
 9-1. 금융시장 (I)
 9-2. 금융시장 (II)
 10.  부동산시장
 11-1. 세계경제 동향 (I)
 11-2. 세계경제 동향 (II)
영문 목차
Major Economic Indicators

Summary and Assessment

Major Indicators of the Korean Economy

1. Gross Domestic Product
  (at 2015 Constant Prices)

2. Economic Activity

3. Consumption

4. Equipment Investment

5. Construction Investment

6-1. Exports, Imports and Terms of Trade

6-2. Current Account and Financial Account

7. Employment and Wage

8. Price Indices

9-1. Financial Market (I)

9-2. Financial Market (II)

10. Housing Market

11-1. Major Indicators of the World Economy (I)

11-2. Major Indicators of the World Economy (II)
국내총생산 및 국내총소득의 성장률(2015년 불변가격) Growth Rates of GDP and GDI (at 2015 Constant Prices)
그래프 영역입니다. 그래프
민간소비 및 고정투자(2015년 불변가격) Growth Rate of Private Consumption and Fixed Investment(at 2015 Constant Prices)
그래프 영역입니다. 그래프
총수출 및 총수입 Total Imports and Exports
그래프 영역입니다. 그래프
외국인 순매수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 of Stocks
그래프 영역입니다. 그래프
기업대출 Bank Loans to Corporations
그래프 영역입니다. 그래프
공공누리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

Join our Newsletter

매일 새로운 소식으로 준비된 KDI 뉴스레터와 함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