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문요약
-
북한의 시장화 진전에 따라 시장물가 데이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데이터는 북한 경제 분석에 필수적이며, 북한 주민의 소득과 소비 패턴 이해에 기여한다. 국내에서 북한 물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세 기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현재 조사 방법의 전반적인 이해와 개선점을 제시한다. 미래 세대의 육성은 여러 국가의 핵심 관심사이며, 북한 역시 초기부터 교육과 보건 개선에 주력해 왔지만, 영양 상태와 교육의 질적 측면에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국제기준을 활용해 북한의 미래 세대 육성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먼저 국제사회의 평가 기준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북한의 실태를 분석해 종합적인 평가를 제시한다.
오랜 분단 지속으로 남한 젊은이들의 북한에 대한 관심이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북한 연구는 자료 접근성 부족과 지원의 부재가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으나, 여전히 새로운 연구자들이 등장하고 있다. KDI 북한경제연구실은 대학원생들과의 대화를 통해 연구 동기와 고충을 공유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 영문요약
-
The increasing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has heightened the importance of market price data, which is crucial for analyzing its economy and understanding resident income and consumption patterns. Drawing on interviews from three domestic institutions providing this data, the analysis offers a thorough insight into current survey methodologies, suggesting improvements. Despite North Korea's investment in education and healthcare, aiming to foster future generations, there are ongoing concerns about the workforce's nutritional status and educational quality. By utilizing international standards to analyze the state of youth development in North Korea, the article reviews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n analyzes the situation in North Korea, and lastly presents a comprehensive assessment.
The ongoing Korean Peninsula division is leading to declining interest in North Korean matters among South Korean youth. Challenges such as restricted data accessibility and inadequate support serve as impediments to research on North Korea, yet new scholars are consistently entering the field. In response to this, the KDI Office of North Korean Economic Studies convened a forum, providing graduat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articulate their research motivations, articulate the challenges they face, and collaboratively explore future directions.
- 목차
-
동향과 분석
북한 시장물가 조사방법 및 개선점 | 정승호
국제비교로 본 북한의 미래세대 육성 실태 | 홍제환
북한경제연구협의회
신진 북한연구자들의 관점: 연구의 어려움과 발전방향 | 남진욱, 윤세라, 강성현, 임사라, 오윤정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