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문요약
-
KDI 북한경제연구협의회는 현재 북한경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기 위해 12월에 ‘북한경제연구자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12월호는 발표된 자료 12건을 수록했다. ‘담대한 구상’ 대북정핵의 기조가 ‘비핵화의 단계별 진행’을 강조한 바, 이를 이행하기 위해 필요한 남북협력의 방향을 모색하는 토론을 비롯하여, 북한의 개발역량 강화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는 지식공유 과제를 모색하고, 북한의 자연재해 발생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태와 어려움, 나아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022년의 북한경제를 외화수급 및 정책 동향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하고 2023년을 전망했다. 나아가 대북제재 강화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시기의 북한 해양수산 이슈와 대응방안을 논의했으며, 동북아 여건 변화가 한반도 미래에 미치는 영향과 새로운 연구 과제를 살펴보았다, 북한경제 연구에서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인 신뢰성 있는 데이터 부족을 극복하기 위핸 방안으로서의 대규모 행정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했다. 김정은 시기 북한의 지방경제 활성화 정책이 가진 구조적 문제를 분석하고, 북한에 새롭게 등장한 국산화 및 지역화 현상을 주제로 전문가들의 진단과 평가가 이루어졌다.
- 영문요약
-
The North Korean Economic Research Forum in December organized a ‘North Korean Economic Researchers Forum’ to share various perspectives on the current North Korean Economy. December issue carries 12 papers presented at the Forum. The main themes discussed at the Forum can be outlined as follows. Researchers discussed policy directions for inter-Korean cooperation needed to fulfill the Yoon administration’s 'Audacious Initiative' which emphasizes a 'phased denuclearization' process. They also explored knowledge sharing tasks that could meaningfully contribute to strengthening North Korea's development capabilities and looked into the reality and difficulties of continuously increasing occurrences of natural disasters in North Korea and furthermore, the impacts on South Korea. The North Korean economy in 2022 was examin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foreign currency supply and demand and policy trends, and the outlook for 2023 was presented. Furthermore, they talked about North Korean maritime and fisheries issues and countermeasures amid tightened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in the post-COVID era. They analyzed the impacts of changes in Northeast Asian conditions on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explored new research tasks. Knowing that the lack of reliable data has been one of the biggest hurdles to conducting North Korean economic studies, researchers looked into the potential of large-scale administrative data as a way to overcome the problem. They examined structural problems of North Korea's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policy during the Kim Jong-un era and delivered diagnoses and evaluations on the newly emerging phenomenon of loc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in North Korea.
- 목차
-
특집 칼럼
‘담대한 구상’을 위한 남북협력 방안: 지속가능성 확보 및 거버넌스 구축방안 | 강민조
북한의 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지식공유 | 강우철
북한의 자연재해 발생 및 대응 현황과 시사점 | 김다울
2022년의 북한경제 평가와 2023년 전망 | 양문수
북한 바다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 윤인주
여건 변화와 한반도 미래 연구의 새로운 과제 | 이상준
북한경제 연구에서 대규모 행정데이터의 활용 가능성 | 이종민
김정은 시기 북한의 지방경제 활성화 정책 분석과 시사점 | 이해정
코로나19와 2022년의 북한경제 | 임송
2022년 북한경제 동향 및 2023년 전망: 외화 수급과 외화보유액을 중심으로 | 장형수
북한의 새로운 지역 거점 등장 및 동인 분석: ‘국산화’와 ‘지역화’를 중심으로 | 정은이
2022년 북한의 경제 정책과 동향 그리고 2023년 전망 | 최은주
-
‘담대한 구상’을 위한 남북협력 방안: 지속가능성 확보 및 거버넌스 구축방안
강민조 8p
-
북한의 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지식공유
강우철 6p
-
북한의 자연재해 발생 및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다울 6p
-
2022년의 북한경제 평가와 2023년 전망
양문수 8p
-
북한 바다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윤인주 5p
-
여건 변화와 한반도 미래 연구의 새로운 과제
이상준 6p
-
북한경제 연구에서 대규모 행정데이터의 활용 가능성
이종민 5p
-
김정은 시기 북한의 지방경제 활성화 정책 분석과 시사점
이해정 9p
-
코로나19와 2022년의 북한경제
임송 5p
-
2022년 북한경제 동향 및 2023년 전망: 외화 수급과 외화보유액을 중심으로
장형수 5p
-
북한의 새로운 지역 거점 등장 및 동인 분석: 국산화와 지역화를 중심으로
정은이 8p
-
2022년 북한의 경제 정책과 동향 그리고 2023년 전망
최은주 6p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 담당자
- 윤정애 전문연구원yoon0511@kdi.re.kr 044-550-4450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