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문요약
-
북한은 2023년 8월 관광법 채택을 통해 기존 특정 지역에 국한되던 관광정책을 전국 단위 일반법으로 제도화하며 대외 개방 전략의 중대한 전환점을 마련했다. 1950년대 사상교육 목적으로 시작된 북한 관광정책은 1980년대 합영법 제정과 국가관광총국 설립을 거쳐 경제적 가치에 주목하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 이후 외화획득을 위한 경제사업으로 완전히 전환되었다. 김정은 집권 이후 관광산업은 국제제재를 우회하면서 외화를 획득할 수 있는 핵심 산업으로 부상했으며, 문수물놀이장, 마식령스키장, 양덕온천 등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이루어졌다. 2025년 6월 개장 예정인 원산갈마해안관광특별구는 김정은의 대표적 관광개발 사업으로, 호텔과 복합시설을 갖춘 체류형 관광 모델을 본격 시도하는 전환점이다. 코로나19로 중단되었던 외래 관광은 정치적 부담이 적은 러시아를 우선 대상으로 제한적 재개되었으며, 2024년 한 해 동안 북한 방문 외래 관광객은 러시아인이 전부였다. 향후 중국인 단체 관광 재개를 통해 기존 중국 중심 구조에서 중러 양국을 양대 축으로 하는 관광 전략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되며, 북한 관광산업의 성패는 중러 양국으로부터의 관광객 유치와 소비 증대에 달려 있다.
- 영문요약
-
The June 2025 issue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North Korea’s tourism sector following the enactment of a comprehensive Tourism Law in August 2023, marking a strategic shift from regionally confined policies to a nationwide legislative framework. Initially developed in the 1950s as a tool for ideological propaganda, tourism evolved into an economic venture by the 1980s and, by the 1990s, became a key channel for securing foreign currency. Under the leadership of Kim Jong-un, the sector has gained prominence as a sanctions-resilient revenue source, spurring major infrastructure projects such as the Munsu Water Park, Masikryong Ski Resort, and Yangdok Hot Springs Complex. The upcoming June 2025 launch of the Wonsan-Kalma Coastal Tourist Zone―touted as Kim’s flagship initiative―introduces an integrated resort model aimed at promoting extended stays and upscale tourism.
Following pandemic-related disruptions, inbound tourism has cautiously resumed, with Russia emerging as the primary target market due to relatively low political sensitivity. In 2024, all foreign arrivals were Russian nationals. North Korea is now pivoting from its pre-pandemic China-dependent model―where Chinese tourists accounted for over 80% of visitors―toward a dual-market strategy focused on China and Russia. The sector’s future hinges on its ability to attract visitors and boost spending from these neighboring countries.
- 목차
-
동향과 분석
북한 대외 개방의 서막과 성공 가능성: 관광법 채택 이후 | 나용우
최근 북한의 관광산업 분석과 전망 | 이해정
북한 관광정책의 거버넌스 구조와 변화: 중앙-지방 관계 및 주요 개발 사례 분석 | 최은주
중러 대상 북한 외래 관광에 대한 평가와 전망 | 이상근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