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부동산시장 동향 2022년 3/4분기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정기간행물 - 부동산시장 동향
본문 바로가기

KDI 한국개발연구원

KDI 한국개발연구원

SITEMAP

부동산시장 동향

Real estate market trend

KDI 부동산시장 동향
KDI 부동산시장 동향 2022년 3/4분기
2022.10.27
국문요약
■ 3/4분기 주택 매매 및 전세 가격은 전국적으로 전분기보다 하락폭이 확대됨. (부동산시장 해설 「최근 주택시장 동향: 금융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참조).

○ 대내외 여건에 따라 기준금리가 큰 폭으로 인상되면서 전국적으로 주택 매매 및 전세 가격 하락이 가시화됨.

- 정책금리의 가파른 인상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유사한 폭으로 동반 하락함.

 * 수도권(2분기→3분기): 매매가격 0.05%→1.19%, 전세가격 0.09%→-1.20%
 * 비수도권(2분기→3분기): 매매가격 0.17%→0.54%, 전세가격 0.04%→-0.55%

○ 반면, 월세지수는 2021년부터 상승하고 있어 아직까지는 공급 대비 수요가 감소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금리인상이 지속될 경우 경기 하방압력이 확대되고 소득이 감소하면서 주거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감소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공급 대비 임대수요의 하락 현상은 나타나지 않음.

■ 주택시장은 당분간 금리효과가 점진적으로 가격에 반영되면서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추후에는 금리 방향성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

○ 2023년 초반까지는 높은 금리가 유지되면서 하방압력이 점진적으로 지속

- 주택시장은 금융시장과 달리 금리변동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반응하는 경향

○ 추후에는 경기 하방압력 정도와 인플레이션 하락 속도에 따라 기준금리가 조정되면서 금리여건에 따라 매매가격의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

- 일반적으로 주택시장은 거시경제 여건과 매 시기 일대일 대응하며 움직이지는 않으나, 최근 주택가격의 변화는 급격한 금리변동에 기인함.

- 주택시장 공급여건(신규입주물량)이 당분간 크게 변하지 않는 가운데, 금리 방향성에 따라 주택구매 심리가 움직이면서 가격변동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임.

부동산 현안

  • 표지
    국유재산 매각 효율성과 정책과제

    □ 국유지가 수의계약을 중심으로 민간 대비 낮은 가격에 매각되고 있으므로 수의매각의 예외규정에 대하여 합리적으로 검토할 필요 □ 향후 재정 여력 감소로 국유재산의 효율적 관리가 요구됨에 따라, 국유부동산에 대한 효율적 사용을 강화하고 중장기 관리체계에 대해서도 고민할 시점임.

    • 프로필
      오지윤 연구위원
공공누리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담당자
윤정애 전문연구원yoon0511@kdi.re.kr 044-550-445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네이버로그인
카카오로그인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

Join our Newsletter

매일 새로운 소식으로 준비된 KDI 뉴스레터와 함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