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한국개발연구원
본문 바로가기

KDI 한국개발연구원

검색

SPOTLIGHT

CONFERENCE

KDI CHAT

KDI는 언제나 당신의 목소리를 기다립니다

| 유튜브 |

중국 부동산 경기가 단기적으로만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칠지는 의문이네요. 중국 부동산 버블이 걷히면 중국 경제 자체가 흔들리지 않을까요?

| 유튜브 |

흔히 하는 얘기로 지방에는 먹거리(기업)가 없고 수도권에는 둥지(집)이 없다고 하죠. 하지만 지방에서 시작한 기업들도 본사를 서울로 옮기는 상황인데 보다 더 효과적인 지방 기업 지원 정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 유튜브 |

영상 잘 봤습니다~ 고령화 문제와 저출산 문제 그 중간을 브릿지를 어떻게 해결해야 될지에 관련한 내용도 해주세요~

| 인스타그램 |

투명한 AI 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이를 저 같은 개미들이 활용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 유튜브 |

그나마 유가가 안정되어서 다행이네요. 여러가지 시나리오들이 있겠지만 모두 좋은 시나리오로 가는 해가 되었으면 합니다.

| 인스타그램 |

정말 유용한 서비스네요! 잘 활용해보겠습니다 ^^

| 유튜브 |

안그래도 찾던 내용인데 잘보고갑니다

| 유튜브 |

매우 흥미로운 인터뷰네요

| 유튜브 |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유튜브 |

노동 공급 확대를 위해 이민정책을 활성화하는 방법은 어떤가요?

| 유튜브 |

영상 감사합니다.

| 유튜브 |

오 재밌네요…그런데 국유지가 사유지에 비해 낮은 가격에 팔리는게 경제학적 균형이라는 연구는 없나요?

| 유튜브 |

고3인데 도움 많이 받았어요 감사합니다

| 인스타그램 |

팔로워 1k 축하합니다!

| 유튜브 |

댓글도 너무 친절하게 달아주시고~ 여러 사회적인 분야의 지표들과 문제점도 짚어주시니 편하게 자료 열람할 수 있었네요. 구독해두고 자주 찾아보겠습니다 :) 감사드립니다.

| 유튜브 |

깔끔한 설명과 영상 편집 모두 정말 훌륭하네요. 독자적인 통화 정책의 필요에 동감합니다.

| 유튜브 |

코로나 걸리고 계속 재택했는데 정말 힘들더라구요 ㅠ

| 유튜브 |

부동산 가격과 주식 가격은 전망하지 않는다는 교수님의 철학 너무 재밌네요. 부동산 버블 이야기도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다음편도 기대되네요. ㅎㅎ

| 유튜브 |

나중에 실제랑 한번 비교해 봐야겠네요! 재미있게 봤어요 ㅎㅎ

| 유튜브 |

깔끔한 영상과 해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유튜브 |

단순히 그늘을 비추는 빈곤의 사각지대 해소와 함께 빈곤의 심각성에 따른 지원수준의 충분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내용이 와닿습니다. 앞으로의 영상 보고서도 기대합니다 .

| 유튜브 |

깔끔한 정리네요 역시 KDI

| 유튜브 |

늘 유익한 영상 잘 보고있어요! 감사합니다

| 페이스북 |

앞으로는 쭈~~~욱 공여국으로 발전 지속합시다. KDI 고맙습니다.

| 연구과제 제안 |

지방 향토음식과 신도시 건설의 상관관계

| 유튜브 |

미러 불확실성 외에도 최근에는 인도네시아 팜유 수출 중단이나 중국 상하이 봉쇄 등 참 여러 수출입 이슈들이 많네요. 좋은 연구 감사합니다.

| 유튜브 |

부동산 가격과 주식 가격은 전망하지 않는다는 교수님의 철학 너무 재밌네요. 부동산 버블 이야기도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다음편도 기대되네요. ㅎㅎ

| 페이스북 |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코로나가 하루 빨리 종식되길 바랍니다.

| 유튜브 |

허진욱 박사님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

| 유튜브 |

늘 유익한 영상 잘 보고있어요! 감사합니다

| 유튜브 |

공고 선정을 위한 시간 투입도 꽤 많이 되는 편인데, 정말 유용할 것 같습니다.

인스타그램

" 30대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언론브리핑 "

김지연 KDI 경제전망실 동향총괄은 언론브리핑을 통해 “우리나라의 30대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이 2010년대 이후 빠르게 높아진 배경에는 자녀를 갖지 않거나 자녀를 갖는 시기를 미루는 여성이 늘어난 원인이 크게 작용했다"고 말했습니다.
페이스북
" 제 11차 한-OECD 국제재정포럼이 시작되었습니다! "

미래 세대를 위한 재정운용방향에 대해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국의 사례를 검토하고 예산 편성 및 집행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네이버포스트
" OECD 노인빈곤율 1위 "

우리나라가 국제적으로 최고인 것, 의외로 노인빈곤율이라고 하는데요. 어쩌다 두 명 중 한 명꼴로 노인이 빈곤한 나라가 된 걸까요? 소득과 자산을 함께 고려해서 노인빈곤을 진단해봤습니다!
Join our Newsletter

매일 새로운 소식으로 준비된 KDI 뉴스레터와 함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